2013년 4월 6일 토요일

EPC Plant Business의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EPC Plant Business의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 EPC 플랜트 업무 프로세스 연계를 통한 자동화, 사업 참여자간 협업 공간, 도면/도서의 자산화등을 지원하는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은 납기준수 및 체계적 사업수행에 중요한 시스템 임.
           

  • 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개선을 위한 기본설계 실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구축된 효율적 프로젝트 문서관리 체계 지원, 사업 참여자간 문서협업체계 구축 및 공유/통제가 가능한 시스템
          

2.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도입 기대효과 (정량적 기대효과)
  • 발주처(Client)의 요구사항 탄력적 대응, 프로젝트 사업문서의 체계적인 통합관리와 협업/공유체계, Global Operation 수행능력 강화 부문의 효율성 향상을 통한 업무시간(리드타임)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성과 비용절감 효과가 기대됨
          

3.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도입 기대효과 (정성적 기대효과)
  • 프로젝트 문서관리시스템(PDMS:Project Document Management System) 구축을 통해 경영전략 & 지원부문, 프로젝트 수행 부문에서 얻을 수 있는 주요 기대효과로는 성과위주의 경영체계 기반 마련, 효율성 향상 및 대 발주처 신뢰도 향상 등이 예상 됨
    • 협력업체간 도면 실시간 공유체계 확립을 통한 협업 효율성 증대 
    • 시스템에 의한 프로젝트 수행계획 수립과 내/외부 평가지표 모니터링을 통한 성과위주 프로젝트 수행체계 기반 마련
    •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프로젝트 수행, 일정정보, 원가정보, 생산원가 분석자료 제공을 통한 정보업무 효율성 향상
    • 설계 도서/도면의 Revision 관리, 설계 도서/도면 관리 프로세스 효율화로 업무시간 단축
    •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기반의 일정관리를 통한 프로젝트 납기 준수율 향상
    • 고객의 문서관리 시스템 활용 요구에 대응하고, 고객의 정보관리 효율 제고를 통한 고객 요건 충족 및 신뢰도 향상
    • 설계품질 제고와 현장 재작업 감소 및 프로젝트 성과의 체계적 축적을 통한 지식 자산화
    • 세계 여러 지역간의 시차극복 및 Coordination 효율 개선
    • 규제 요건에 대한 충족 및 종이 문서의 대폭 감소를 통한 저장공간 감축

4. 프로젝트 문서관리 업무특성
  • 프로젝트 문서는 그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절차로 관리됨. (설계문서, 공급자문서, 서신문서, 사업관리문서 등)
  • 문서의 관리 절차는 문서의 종류에 따라 대체로 유사하기는 하지만, 프로젝트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문서관리에 필요한 각 종류의 문서의 속성도 프로젝트의 특성 및 조건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따라서, PDMS는 문서 종류의 정의, 각 문서 종류에 대한 속성 정의, 업무절차의 정의를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야 함. 
  • 업무절차는 Application에 독립적으로, 각 문서에 대해 정의할 수 있어야 함. 
      

5.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을 활용환 자료관리 체계
  • 문서분류 및 폴더체계는 업무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조직구조와 단위조직별 직무를 파악하고, 문서유형분석 및 폴더체계 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구축하게 되며, 속성정보는 문서유형별 기본속성, 필수속성, 선택속성 등을 구분하여 정의
          

6.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협업체계
  • 협업 Portal은 Project 모든 구성원이 Web 기반의 공동 작업 공간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실시간 의사소통을 통해 효율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할 수 있는 협업공간 으로, Project 정보 공유, 문서관리 연계, Communication 및 Collaboration등을 포함
           

7.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테을 활용한 프로젝트 진도관리
  •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의 진도관리는 전체 프로젝트 일정 관리 중 엔지니어링 성과물 관리와 연계되어 구축되며, 일정관리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계
          

8.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전체 구성도
       

9.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주요기능
    9.1 Correspondence (서신문서)
  • 프로젝트 수행 중 발생되는 각종 Correspondence(서신문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참여자간 원활한 의사소통 지원 및 Correspondence(서신문서)간 연관관계에 의한 추적관리(Tracking) 체계 구현 
          

    9.2 프로젝트 문서 통합관리
  • On-Line기반의 통합문서관리체계의 구현 및 시스템 연동을 통한 자동화에 주안점을 두어 프로젝트 일반문서, Procedure, 발주처 제공문서, Progress 문서 등을 통합관리
          

    9.3 제작자 도면관리 (Vendor Print Control)
  • 프로젝트 문서 중 제작자 문서는 문서관리 프로세스가 상이하며, 제작자 도면의 효율적 관리 체계 지원
      

     9.4 프로젝트 문서 이관 (Handover)
  • 프로젝트 종료 시 수행 단계에서 발생된 각종 문서들을 발주처 시스템으로의 전자적 또는 Hardcopy에 의한 Handover에 탄력적 대응체계 제공
          
     9.5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Report 출력
  • 수주산업의 특성 상 발주처의 요구에 의한 다양한 리포트 포맷팅 요구에 탄력적 대응을 위해 개발자 개입 없이 일반 사용자의 단순 설정만으로 리포트 포맷 생성지원
          

     9.6 프로젝트 문서관리 검색( Search) 및 도면출력
  • 프로젝트 문서, 서신문서 등에 대하여 다양한 검색조건식에 의한 데이터, 본문내용 검색기능을 제공하며, 일괄 다운로드, 일괄 출력 기능의 사용자 편의기능 제공
           

     9.9 프로젝트 문서관리 진도관리(Progress Monitoring)
  • 프로젝트 진도관리에 따른 추가/변경 업무 프로세스를 명확화 하고, 사업수행을 고려한 고유의 업무 프로세스 및 Project Control 관점의 프로세스간 연계성을 확보하여 진도측정 기준을 적용한 진도관리 체계 제공
           

  • 서신문서, Progress 문서 제출 등 일련의 프로젝트 수행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WBS를 활용, 연계하여 실적 진척현황 및 트랜드 분석, Progress 산출 등 각종 발주처 제출 및 현황 리포트 제공
          


10.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개발사 및 환경

 테오스 TEOS (The Era Of Sensibility) 02-3775-1700, www.teos.co.kr
 
WBS(Work Breakdown Structure) 기반의 건설사업관리 시스템(PMIS), 공정관리 시스템을 구축 공급하며
EPC Plant 업역의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Start-Up 전 Phase에 대한 시스템 구축합니다.
Engineering Phase 지원 시스템은 더큐먼텀(Documentum)기반의 프로젝트 문서관리(Project Document Management) 시스템, Intergrap SPMAP 컨설팅 및 커스터마이징, 현장자재관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Procurement Phase 지원 시스템은 Engineering단계의 Material Take-off 단계부터 현장 자재관리 구매 및 관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Construction Phase 지원 시스템으로는 전제 사업관리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현장 업무지원을 위한 Welding, Streel Structure, Painting, Cable Schedule 관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활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WBS 기반의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 Phase별 Primavera와 연계된 Progress Monitoring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윤재홍
www.teos.co.kr
EDIT

OTS USB


최근 OTG 지원 USB 메모리들이 여럿 선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다. USB OTG(On-The-Go)란 PC가 없어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디카 등 휴대용 기기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수정된 USB 규격이다. USB OTG를 지원하는 휴대용 기기는 마치 노트북처럼 USB 마우스나 키보드, 메모리 등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얼마 전 선보인 아이리버의 스마트G나 코리아플래시 홀릭 OTG 등은 PC에 연결하는 단자 외에도 안드로이드폰과 바로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로 5핀 단자가 함께 탑재돼 스마트폰에 바로 연결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안드로이드 OS는 3.1버전 허니콤부터 OTG를 정식 지원하므로 3.1버전 이상의 스마트폰은 대부분 이들 USB메모리를 바로 꽂아 사용할 수 있다.

컴퓨존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PC 또는 스마트폰에 바로 연결할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OTG USB메모리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으며 16GB 용량 모델이 가장 선호도가 높다고 전했다.

■스마트폰과 연결 편리한 OTG USB메모리
코리아플래쉬 홀릭 OTG USB메모리는 상단에 마이크로 5핀 단자, 하단에 PC에 연결할 수 있는 일반 USB 단자를 탑재한 제품이다. 안드로이드 3.1 이상 스마트폰에 끼우면 USB 내부에 저장된 폴더와 파일을 확인하거나 이동, 복사, 재생을 할 수 있다. 블랙, 그린, 바이올렛, 핑크의 4가지 색상을 갖췄다. 가격은 2만 7,900원이다.

■듀얼밴드 지원에 원터치 무선 보안연결까지?
네티스 WF2150은 USB메모리와 비슷한 크기의 무선랜카드다. 전파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2.4GHz 외에 5GHz 주파수 대역도 사용할 수 있는 듀얼밴드 기능을 탑재했고 802.11n 규격과 최대 무선 속도 300Mbps를 지원한다. 버튼 한 번만 누르면 별로도 설정하지 않아도 무선 보안 연결이 가능한 WPS 기능도 가졌다. 1만 8,500원에 살 수 있다.

■세련된 디자인에 하드스왑 장치로 편의성도↑
인윈 GT1 그란투리스모 화이트는 세련된 디자인와 화이트 컬러를 내세운 미들타워 PC 케이스다.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하드디스크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이지스왑 장치 1개를 마련하는 한편 USB 3.0 단자 1개와 2.0 단자 2개, 오디오 단자, 마이크 단자를 모두 상단에 집중시켰다. 120mm 쿨링팬 2개를 기본 장착했고 최대 6개까지 늘릴 수 있다. 가격은 5만 1,000원.

■빠른 피사체 움직임, 조도 변화에도 촬영 거뜬
삼성전자 NX300은 2,030만 화소를 지원하는 미러리스 디카다. 하이브리드 AF 기능을 탑재해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찍을 때나 노출 변화가 심한 환경에서도 원활한 촬영이 가능하다. 와이파이를 탑재해 사진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전송할 수 있으며 2.4GHz, 5GHz 주파수를 사용하는 듀얼밴드 기술로 안정적인 사진 전송을 지원한다. 가격은 89만 9,000원이다.

■트리니티 지원 메인보드, SATA 6Gbps 8개나?
애즈락 FM2A85X 프로는 AMD 트리니티 APU를 지원하는 메인보드다. 시리얼ATA 6Gbps 8개를 지원해 하드디스크 여러 개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그래픽 성능 향상과 오버클록에 도움을 주는 하이브리드 부스터 기능과 AMD 스테디 비디오 2.0 등을 탑재했다. 9만 1,500원에 살 수 있다.

※ 자료제공 : 컴퓨존(www.compuzone.co.kr)
클릭인기정보